티스토리 뷰
에러 직접처리
try catch 를 사용합니다.
<% try { %>
<%= 1/0 %>
<% } catch(Exception e) { %>
에러가 발생했습니다.
<% } >
에러 페이지 지정하기
<%@ page errorPage = "/error/errorViewPage.jsp" %>
에러페이지
/error/errorViewPage.jsp
<%@ page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%>
<%@ page isErrorPage = true %>
errorPage를 지정하면 톰켓의 기본에러페이지 대신 에러가 발생했을때 지정한 에러페이지를 보여줍니다.
이 때 지정된 에러페이지 디렉티브의 isErrorPage를 true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.
errorPage로 지정된 JSP 안에서는 exception 기본객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※에러페이지의 byte가 512바이트보다 작다면 IE에서는 무시될 수 있습니다. 주석등을 활용해 페이지의 크기가 512바이트 이상이 되도록 해줍니다.
응답상태별로 에러페이지 지정하기
web.xml에 응답상태별로 에러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web-app>
...
<error-page>
<error-code>404</error_code>
<location>/error/404error.jsp</location>
<error-page>
...
<web-app>
익셉션 타입별로 에러 페이지 지정하기
응답상태별로 지정했을때와 마찬가지로 web.xml에서 지정할 수 있다.
<error-page>
<exception-type>java.lang.NullPointerException</exception-type>
<location>/error/errorHandler.jsp</location>
<error-page>
에러페이지의 우선순위
1. page 디렉티브의 errorPage 속성에 지정한 에러페이지
2. web.xml의 exception-type
3. web.xml의 error-code
4. 웹 컨테이너 기본 에러페이지
'JSP &Servl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 JSTL(JSP Standard Tag Library) (0) | 2021.04.28 |
---|---|
표현언어(Expression Language EL) (0) | 2021.04.28 |
JSP 기본 객체와 영역 (0) | 2021.04.27 |
JSP 폴더구조 (0) | 2021.04.27 |
JSP response 객체 (0) | 2021.04.24 |
댓글